데이터 통신의 기본 개념
1. 데이터 통신의 연도별 발전
2. 데이터 통신의 구조
1) 기본 구조
송신자
↓
입력정보m
↓
입력장치
↓
입력 데이터g 또는 신호g(t)
↓
송신기
↓
송신신호s(t)
↓
전송매체
↓
수신신호r(t)
↓
수신기
↓
출력 데이터G또는 신호G(t)
↓
출력장치
↓
출력정보M
↓
수신자
2) 데이터 통신 구조
파일 전송 ↔ 응용 프로토콜 ↔ 파일 전송
네트워크 서비스 ↔ 시스템 프로토콜 ↔ 네트워크 서비스
네트워크 엑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엑세스 포인트
통신망
(네트워크 케이블)
3. 데이터 통신망 구축 기술
1) 회선 구성 : 둘 이상의 통신 장치가 하나의 링크에 연결되는 방식
2) 회선 구성 방식
- 점-대-점 회선 구성 : 메인 프레임 형태의 중앙 컴퓨터와 여러 터미널들이 독립적이 회선을 이용하여 1:1로 연결되는 방식
- 다중점 회선 구성 : 하나의 장치에 연결된 하나의 전용회선(백본)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장치들을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식
- 교환(Switching)방식 : 각 정보 기기를 통신망에 연결하여 교환국 통해 통신 과정을 수행하는 방식
( 각 장단점 )
4. 접속 형태(Topology)
1) 정의 : 물리 또는 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 방법,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의 위치나 컴퓨터 간의 케이블 연결 등의 물리적인 배치
- 접속 형태 선택 시 고려 사항
: 대등-대-대등(peer-to-peer) 장치들이 동등하게 링크를 공유 (링형, 그물형)
: 주국-종국 : 하나는 트래픽 제어, 하나는 이를 통하여 전송 가능 (성형, 계층형)
2) 그물(Mesh) 형
- 모든 장치는 다른 장치와 전용 점-대-점 링크를 갖는다.
- N개의 장치를 갖는 그물형 네트워크는 n(n-1)/2 개의 링크를 갖는다.
3) 성(Star) 형
- 각 장치는 허브(hub)라는 중앙 제어기와 점-대-점 링크를 갖는다.
- 중앙 제어 노드가 통신상의 제어에 대한 권한과 책임(중앙제어장치의 지능화 요구됨, 통신망이 능동적이므로 기능의 부가가 요구됨)
4) 계층(Tree) 형
- 허브를 이용하는 다수의 버스 방식을 트리처럼 연결
- 제어와 오류 해결을 중앙의 한 지점에서 수행
5) 버스(Bus) 형
- 버스라 불리는 공통배선을 모든 노드가 공유
- 근거리 통신망(LAN)의 일반적 방식
- 특정 노드의 상태에 딸 네트워크 상태가 변하지 않음( 브로드캐스팅 방식)
6) 원(Ring) 형
- 데이터의 흐름이 한방향
- 일정 순간에 한 개의 노드만 신호를 수신
- 인접 노드로 데이터를 중계하여 노드간 통신
7) 하이브리드(Hybrid) 형
- 복합
( 각 장단점 )